반응형

array 4

[자료구조] 배열(Array)의 개념

오늘은 자료구조에서 가장 기본으로 다루는 배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. 배열이란? 같은 타입의 변수들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 배열은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다뤄야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 입니다. 중요한 건 int 데이터를 모으는 int 배열, String 데이터를 모으는 String 배열처럼 같은 자료형 데이터들만 담을 수 있습니다.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열 요소를 element라고 하며, 배열에서의 위치를 가리키는 숫자를 index라고 합니다. 자바에서 인덱스는 언제나 0부터 시작하며, 0을 포함한 양의 정수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. 배열은 선언되는 형식에 따라 1차원 배열, 2차원 배열, 3차원 배열 등 다차원 배열로 선언이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2차원 배열까..

IT/자료구조 2022.10.08

[ 프로그래머스 ]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JAVA

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문제 설명 정수를 저장한 배열, arr 에서 가장 작은 수를 제거한 배열을 리턴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. 단, 리턴하려는 배열이 빈 배열인 경우엔 배열에 -1을 채워 리턴하세요. 예를들어 arr이 [4,3,2,1]인 경우는 [4,3,2]를 리턴 하고, [10]면 [-1]을 리턴 합니다. 제한 조건 arr은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. 인덱스 i, j에 대해 i ≠ j이면 arr[i] ≠ arr[j] 입니다. 입출력 예 [4,3,2,1] [4,3,2] [10] [-1] class Solution { public int[] solution(int[] arr) { int size = arr.length; int[] answer = new int[size - 1]; if..

알고리즘 연습 2020.05.04

[백준_BOJ] 1546. 평균 _ JAVA

문제 풀이 간단히 평균을 조작하는 문제입니다. 평균을 조작하기 때문에 소수점 아래까지 다룰 수 있도록 double형으로 array를 만들어주었습니다. (N개) 입력 받으면서 가장 큰 점수를 찾아 max에 저장합니다. (이후 연산에 사용하기 위해) double형 변수 sum을 선언해주고 각각의 점수에 대해 array[i] / max * 100 연산을 처리해준 뒤 sum에 모두 더해줍니다. 마지막으로 sum을 N으로 나눈 결과값을 출력해주었습니다. 문제에서 주어지는 대로 배열을 이용해 입력받고 연산식을 그대로 적용하면 답을 찾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. 단 소수점 두 번째 자리까지 정확성을 요구하므로 double형 변수를 이용해주었습니다. 코드 출처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5..

알고리즘 연습 2019.12.28

[백준_BOJ] 3052. 나머지 _ JAVA

문제 풀이 입력으로 주어진 A를 B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통해 각 숫자가 몇 번 나왔는지를 세기 위해 배열을 활용하는 문제입니다. 나머지는 0부터 41까지가 가능하므로 boolean형 배열 42개짜리를 만들어주었습니다. 그리고 각각의 입력에서 42를 나눈 나머지의 값이 처음 나왔다면 ( !array[in] ) array[in]을 true로 처리해주고 answer값을 1 증가시켜주어 카운팅하였습니다. 10개의 입력으로 위 과정을 반복한 뒤 정답을 출력해주었습니다. 코드 출처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3052 3052번: 나머지 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, A%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 이다. 예를 들어, 7, 14, 27,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, 2,..

알고리즘 연습 2019.12.28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