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고리즘 연습

[프로그래머스]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1차 다트 게임

코딩하는 너구리 2020. 3. 16. 18:30
반응형

 

Q. 다트게임

출처 :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7682

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.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,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.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.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.

  1.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.

  2.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.

  3. 점수와 함께 Single(`S`), Double(`D`), Triple(`T`)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, 2제곱, 3제곱 (점수1 , 점수2 , 점수3 )으로 계산된다.

  4. 옵션으로 스타상(`*`) , 아차상(`#`)이 존재하며 스타상(`*`)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. 아차상(`#`)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.

  5. 스타상(`*`)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.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(`*`)의 점수만 2배가 된다. (예제 4번 참고)

  6. 스타상(`*`)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(`*`)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.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(`*`) 점수는 4배가 된다. (예제 4번 참고)

  7. 스타상(`*`)의 효과는 아차상(`#`)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.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(`#`)의 점수는 -2배가 된다. (예제 5번 참고)

  8. Single(`S`), Double(`D`), Triple(`T`)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.

  9. 스타상(`*`), 아차상(`#`)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,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.

0~10의 정수와 문자 S, D, T, *, #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.

입력 형식

점수|보너스|[옵션]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. 예) `1S2D*3T`

  •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.

  • 보너스는 S, D, T 중 하나이다.

  • 옵선은 *이나 # 중 하나이며, 없을 수도 있다.

출력 형식

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. 예) 37

입출력 예제

예제dartResultanswer설명
1 `1S2D*3T` 37 11 * 2 + 22 * 2 + 33
2 `1D2S#10S` 9 12 + 21 * (-1) + 101
3 `1D2S0T` 3 12 + 21 + 03
4 `1S*2T*3S` 23 11 * 2 * 2 + 23 * 2 + 31
5 `1D#2S*3S` 5 12 * (-1) * 2 + 21 * 2 + 31
6 `1T2D3D#` -4 13 + 22 + 32 * (-1)
7 `1D2S3T*` 59 12 + 21 * 2 + 33 * 2

 

 

class Solution {
  public int solution(String dartResult) {
		int[] score = new int[3];
		int answer = 0;
		int scoreIdx = 0;

		for (int i = 0; i < dartResult.length(); i++) {
			char ch = dartResult.charAt(i);
			if (ch >= '0' && ch <= '9') {
				if (ch == '1') {
					if (dartResult.charAt(i + 1) == '0') {
						score[scoreIdx] = 10;
						i++;
						scoreIdx++;
						continue;
					}
					score[scoreIdx] = 1;
					scoreIdx++;
				} else {
					score[scoreIdx] = ch - '0';
					scoreIdx++;
				}
			} else if (ch == 'S' || ch == 'D' || ch == 'T') {
				if (ch == 'D') {
					score[scoreIdx - 1] *= score[scoreIdx - 1];
				} else if (ch == 'T') {
					score[scoreIdx - 1] *= score[scoreIdx - 1] * score[scoreIdx - 1];
				}
			} else if (ch == '*' || ch == '#') {
				if (ch == '*') {
					if (scoreIdx == 1) {
						score[0] *= 2;
						continue;
					}
					score[scoreIdx - 1] *= 2;
					score[scoreIdx - 2] *= 2;
				} else if (ch == '#') {
					score[scoreIdx - 1] *= -1;
				}
			}
		}
        answer = score[0] + score[1] + score[2];
        return answer;
  }
}

 

 

3개의 점수를 저장하는 score배열을 생성하고 현재 몇 번째 점수를 가르키고 있는지 위치를 알기 위해 scoreIdx 변수를 만들어주었습니다.

 

for문을 이용하여 입력으로 들어온 문자열을 한 자씩 돌면서 if else문을 이용하여

  1. 'S', 'D', 'T'인 경우에 대해 작성해주었습니다.

  2. '*', '#'인 경우도 따로 처리해주었습니다.

  3. '0 ~ 9'인 경우 score[scoreIdx] 번째에 점수를 넣어주었습니다.

     

예외적으로 숫자가 1인 경우에 10점이 나올 수 있으므로 scoreIdx+1번째의 값이 0인 경우 10점을 넣어주고 아닌 경우에는 1점을 넣어주었습니다.

모두 계산한 뒤 answer에 score배열의 점수들을 모두 더해 출력해주었습니다.

반응형